FE-SEM-3(전계방사형 주사전자현미경) 도입
제 24대 공동기기센터장에 장 항배(산업보안학과) 교수 취임
제 23대 공동기기센터장에 전 향숙(식품공학부) 교수 취임
FE-SEM-2(전계방사형 주사전자현미경) 도입
제 22대 공동기기센터장에 고 중혁(전자전기공학부) 교수 취임
제 21대 공동기기센터장에 이 상명(생명과학과) 교수 취임
FE-TEM(전계방사형 투과전자현미경) 도입
제 20대 공동기기센터장에 안 상두(화학과) 교수 취임
공동기기센터 안성캠퍼스를 생명공학대학 BT기기센터로 조직 개편
제 19대 공동기기센터장에 이 종찬(화학과) 교수 취임
XPS(X선 광전자 분광기) 도입
제 18대 공동기기센터장에 공 광훈(화학과) 교수 취임
제 17대 공동기기센터장에 이 광호(생명과학과) 교수 취임
직제개편으로 부서명이 공동기기원에서 공동기기센터로 변경
직제개편으로 연구지원처 소속으로 편제
제 16대 공동기기원장에 강현아(생명과학과) 교수 취임
XRD(Powder, Single Crystal) 2 Set 도입.
서울캠퍼스에 FT-IR 도입
제 15대 공동기기원장에 이종찬(화학과) 교수 취임
직제조직 개편으로 인하여 자연공학계열로 편제
서울캠퍼스 공동기기원에 FE-SEM 1Set 도입.
제 14대 공동기기원장에 서현석 교수(경영학부) 취임.
행정조직 개편으로 인하여 연구지원처 소속으로 편제.
제 2캠퍼스 공동기기원에 Automated Flow Cytometry Sorter 1Set 도입.
제 1캠퍼스 공동기기원에 600MHz-NMR Spectrometer 1Set 도입.
분석기기 사용료 유료화 시작
제 1캠퍼스 공동기기원에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1 Set 도입.
제 2캠퍼스 공동기기원에 ICP Spectroanalyzer 1 Set 도입.
직제규정 개정에 의하여 부서명칭 변경
“기초과학센터 분석팀”에서 “공동기기원 기기분석팀”으로 변경.
부서장 명칭도 “기초과학센터 센터장”에서 “공동기기원 원장”으로 변경
제 13대 기초과학센터 센터장에 이종찬 교수(화학과) 취임.
실내공기질측정대행기관 인증(산학협력단,건축학과 공동: 서울특별시)
제 1캠퍼스에 TDS/GC/Mass System 1 Set 도입.(연구지원처자금으로,산학협력단 건축학과 자산)
제 12대 기초과학센터 센터장에 공광훈 교수(화학과) 취임.
친환경건축자재인증센터 지정(산학협력단,건축학과 공동: 공기청정협회)
제 1캠퍼스 기초과학센터에 ICP Spectroanalyzer 1 set 도입.
제 11대 기초과학센터 소장에 박순철 교수(생명과학과) 취임.
제 2캠퍼스 기초과학센터에 Amino Acid Analyzer System 1 set 도입.
제 2캠퍼스 기초과학센터에 HPLC 1 set 도입.
제 1캠퍼스 기초과학센터 방사성동위원소실에 Gamma Counter 1set 외 12종 도입.
제 1캠퍼스 방사성동위원소 실험실 신설(파이퍼홀 3층, 311호실)
행정조직 개편으로 인하여 자연과학대학 소속에서 부총장 산하기관으로 단독 편제.
제 2캠퍼스 기초과학센터에 Spectrofluorometer 1set 도입.
제 2캠퍼스 기초과학센터에 Texture Analyzer 1set 도입.
제 10대 기초과학센터 소장에 김성기 교수(생물학과) 취임.
제 1캠퍼스 기초과학센터에 High Resolution GC-Mass Spectrometer 1set 도입.
행정조직 개편으로 인하여 연구지원처 소속에서 자연과학대학 소속으로 편제.
제 2캠퍼스 기초과학센터 UV/VIS Spectrometer 1set 도입.
제 2캠퍼스 기초과학센터에 Storage Phosphor Imaging System 1set 도입.
Ratio Fluorescence Image Analyzer 1set 도입.
Ion Chromatography 1set 도입.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meter (300MHz) 1set 도입.
X-ray Floorescence Analyzer 1set 도입.
자연과학대학 공동기기실에 설치되어 있던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1set,
본 부서로 이전 설치되어, 교수 연구활동 지원 및 학 생실험실습에 활용. X-ray Diffractometer 1set 도입.
제 1캠퍼스에 전자물리학 실험실 신설.
신축건물 수림과학관 2층으로 이전.
김명섭 동창회장으로부터 GC-Mass Spectrometer 1 set기증
제 9대 기초과학센터 소장에 장석규 교수(화학과) 취임
연구지원처 기초과학센터로 기구개편
Inductively Coupled Plasma Spectrometer도입
제 1캠퍼스 자연과학관 지하1층에 생물공학실험실 설치.
제 8대 기초과학센터 소장에 추종길 교수(생물학과) 취임.
제 3차 OECF교육차관으로 제1캠퍼스 기초과학센터에 HPLC외 7종 7점 의 기기, 제2캠퍼스 기초과학센터에 16종 35점의 기기 도입.
제 2캠퍼스 센터 설립으로 인하여 제1캠퍼스 센터 분석기기 일부를 제2 캠퍼스 기초과학센터 분석기기실로 이전 설치.
3월 기초과학센터 운영규정 개정.
제2캠퍼스 산업대학 실험실습동 2층에 기초과학센터(분소)설립.
운영과를 두어 제1,제2캥퍼스 기초과학센터를 관장.
부서장명을 "기초과학센터 간사장"에서 "기초과학센터 소장"으로 변경.
제7대 기초과학센터 소장에 이일규 교수(화학과) 취임.
제 6대 기초과학센터 간사장에 임양재 교수 취임.
제 1차 OECF교육차관으로 도입된 FT-IR, NMR Spectrometer, AminoAcid Analysis System, Liquid Nitrogen Generator등 최신형 분석기기 도입, 설치.
제 5대 기초과학센터 간사장에 장보현 교수 취임.
제 4대 기초과학센터 간사장에 김성일 교수 취임.
기초과목에 대한 실험실습의 효율적인 학생수업을 지원하기 위해 기초 과목을 새로이 관장.
파이퍼흘 1층에서 자연과학관 지하1층 및 지상1층으로 이전되었으며 이때 "종합실험실습센터"에서 " 기초과학센터"로 기구가 개편, 부서장명 도 "종합실험실습센터장"에서 "기초과학센터 간사장"으로 변경.
제3대 기초과학센터 간사장에 이택준 교수 취임.
제 2대 센터장에 한덕용 교수 취임.
AID, PAC자금으로 도입된 Mass Spectrometer, Micro Balance, Atomic Absorption Spetrophotometer, Multi Purpose Spectrophotometer,Infra-Red Spectrophotometer, Gas Chromatograph등 최신형 분석기기를 도입, 교수연구 및 학생 실험실습에 활용.
1월 자연계학과 교수 연구활동 및 학생 실험실습 지원을 위하여 파이퍼홀 1층과 3층에 "종합실험실습센터"를 설립.
초대 센터장에 정재기 교수 취임.
제 5대 기초과학센터 간사장에 장보현 교수 취임.